오늘은 보다 넓고 보다 깨끗하고 보다 청량한 지역 경상북도의 언택트 관광지를 소개해보려고해요~
조사하다보니 다른 지역의 언택트 관광지보다 규모가 더 크고 웅장한것 같아서 이중의 반이상은 제 버킷리스트 관광지로 꼽아두었네요 ~
*글그림출처 : 한국관광공사
(사진 *출처:한국관광공사)
호미반도 해안둘레길은 한반도 최동단지역으로 영일만을 끼고 동쪽으로 쭉 뻗은 트레킹로드이다. 서쪽의 동해면과 동쪽의 호미곶면, 구룡포읍, 장기면에 걸쳐 있다. 연오랑세오녀의 터전인 청림 일월(도기야)을 시점으로 호미반도의 해안선을 따라 동해면 도구해변과 선바우길을 지나 구룡소를 거쳐 호미곶 해맞이 광장까지 4개 코스의 25km구간과 해파랑길 13, 14코스로 연결되는 구룡포항, 양포항, 경주와의 경계인 장기면 두원리까지 전체길이는 58km에 달한다. 조선 명종때의 풍수지리학자인 격암 남사고는 한반도를 호랑이가 앞발로 연해주를 할퀴는 형상으로 보았다. 더불어 백두산은 호랑이 머리 중의 코이며, 호미반도는 호랑이 꼬리에 해당하는 천하 명당이라 했다. 고산자 김정호가 대동여지도 작성에 앞서 국토 최동단을 결정하기 위해 호미곶과 죽변 용추곶을 놓고 각각 일곱 번이나 답사를 한 뒤에 호미곶을 최동단으로 정했다고 한다. 또 육당 최남선은 조선상식지리에서 대한십경 중의 하나로 이 호미곶의 일출을 꼽았다.
전국에 둘레길이 많지만 바로 옆에 바다가 있고 파도가 치는 해안둘레길은 대한민국에서 호미길 하나뿐이라 자부한다. 왼쪽으로는 끝없이 펼쳐진 푸른 동해바다를 보면서 오른쪽으로는 수놓은 듯 보랏빛 해국이 펼처져 있고 여왕바위, 힌디기 등 아름답고 기묘한 바위를 감상하면서 파도소리에 맞춰 리드미컬하게 걸으면 절로 힐링이 된다. 일출이나 일몰 시간에 떠오르는 해를 보면서 지는 해를 보면서 걸으면 황홀한 광경과 벅찬 감동은 무어라 표현할 길이 없다. 야간에 바다에 어른거리는 달빛을 보면서 걷는 것도 로맨틱해서 버킷리스트에 올릴 만 하다고 감히 말씀드린다. (후레쉬나 헤드랜턴 반드시 지참)
●문의 및 안내 054-270-3203
●홈페이지 http://phtour.pohang.go.kr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해면
●휴일 연중무휴
●화장실 있음(선바위 구간), 휠체어사용가능
(사진 *출처:한국관광공사)
금오산 저수지를 따라 걷다 보면 저수지에 비친 아름다운 전경은 금오산의 또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다. 길 중간중간 있는 작은 쉼터는 휴식을 취하기에도 좋다.
●홈페이지 http://tour.gb.go.kr/travel/experienceView.do?idx=3525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금오산로 336-44
(사진 *출처:한국관광공사)
깎아지른 절벽과 노송으로 이루어진 절경이 빼어난 곳으로, 하늘이 스스로 내렸다고 해 자천대(自天臺)라고도 한다. 그러나 채득기가 ‘대명천지(大明天地) 숭정일월(崇禎日月)’이란 글을 새긴 뒤 경천대로 바꿔 불렀다. 조선조 이 지역 출신의 선비인 우담 채득기 선생이 지은 정자인 무우정(舞雩亭)이 절벽 위에 위치한다. 경천대는 기우제를 지내는 곳으로도 이용되었으며, 조선시대 장군 정기룡이 하늘에서 내려온 용마를 얻었다는 전설도 전한다. 정기룡이 바위를 파서 말먹이통으로 쓰던 유물이 남아 있다. 상주에서는 선비들의 모임 장소로 유명하여 김상헌과 이식·이만려 등의 문객들이 자주 찾았다고 한다.옥주봉에 있는 전망대에서는 멀리 주흘산(1,106m)과 학가산, 낙동강과 백화산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경천대 내에는 전망대, 인공폭포, 경천대 어린이랜드, 야영장이 있으며, 노송 숲을 거쳐 전망대에 이르면 시원한 낙동강 물길과 주변 경치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전망대까지 오르는 울창한 솔숲은 걷는 재미를 느끼게 한다. 절벽위에서 강을 내려다보는 전망이 대단히 멋진 곳으로, 휘어진 소나무 사이로 굽이굽이 흐르는 낙동강과 강변 기암괴석을 볼 수 있다. 전망대로 오르는 등산로는 소나무가 숲을 이루어 삼림욕장으로 알맞다. 인근에 경상북도기념물 제25호로 지정된 전사벌왕릉과 전고령가야왕릉(경북기념물 제26호), 충의사 등 문화재가 많다. 그리고 2001년 가을에는 경천대 남쪽 강가에 MBC 드라마 “상도”의 저자거리 세트장이 들어서서 또하나의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문의 및 안내 054-536-7040
●홈페이지 https://www.sangju.go.kr/tour/page/2940/2165.tc?protocol=http
●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삼덕리
●휴일 연중무휴
●주차 있음(108대 주차 가능)
●입 장 료 무료
●출입통로출입구에는 단차가 있지만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음(내부에는 계단이 있어 휠체어, 유모차 등의 이동에 제약이 있음)
(사진 *출처:한국관광공사)
문경은 경상북도 북쪽의 울타리이다. 태백산에서 이어진 대미산, 주흘산, 희양산 같은 고봉들이 충북과 경북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기암괴석과 깎아지른 듯한 층암절벽이 이어지고 강 위로 철교·구교·신교 등 3개의 교량이 나란히 놓여 있어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이루며, 이 절경으로 경북팔경 중 제1경으로 꼽힌다. 또한 영강의 기암괴석과 원삼국시대의 성으로 추정되는 고모산성, 고부산성이 어우러져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고 있다.1933년 1월 대구일보사 주최 경상북도 내 명승지 결정에서 1등으로 지정되어 "경북 팔경 중 제1"이라는 비석이 있는 곳이다. 고모산성 아래에 강변 따라 솟아오른 층암 절벽 허리깨를 감아도는 옛 사다리길이 불정역 동변 기슭까지 희미하게 이어져 있는데 이 길이 관갑천 또는 토천이라 한다.
현재에는 낙동강 지류인 가은천과 조령천이 영강에 합류하였다가 돌아나가는 지점으로, 아름드리 노송이 우거진 숲 앞으로 넓은 모래사장이 펼쳐지고 주차장·휴게소·인공폭포 등이 마련되어 있어 여름철 휴양지로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영강은 함창읍 동쪽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들어간다. 문경선 철교가 주변 풍치의 멋을 더해주고 있다.
●문의 및 안내 054-550-6393
●홈페이지 http://www.gbmg.go.kr/tour/main.do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사진 *출처:한국관광공사)
벌영리 메타쉐쿼이아 숲길은 개인이 정성스레 심어 기른 메타세쿼이아가 아담한 숲을 이룬다. 입구부터 쭉쭉 뻗은 나무를 바라보면, 모든 일이 잘 풀릴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측백나무와 편백의 향기는 그 느낌을 더욱 배가 시켜준다. 일반인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있어 삼림욕을 즐기며 휴식을 취하기에 매우 좋다.
●문의 및 안내 054-740-7362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gbnadri/221578422767
●주 소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사진 *출처:한국관광공사)
안동댐 수력발전소 입구 좌측에 위치한 낙강물길공원은 안동의 비밀의 숲 이라고 불려진다. 호숫를 바라보며 즐기는 혼크닉은 어느 카페 부럽지 않다. 곳곳에 숨어있는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으면 인생샷을 건지기에 안성맞춤이다. 숲속정원, 폭포, 안동루, 쉼터, 산책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탐방객들에게 편안한 휴식과 힐링공간을 제공한다. 도심 인근에 위치해 접근성이 많은 시민들이 찾는 곳으로 메타세쿼이아와 전나무가 어우러져 이국정인 풍경을 만들어낸다.
●문의 및 안내 054-850-4203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andongcity00/221973499621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상아동
●주차 주차가능
●입 장 료 무료
(사진 *출처:한국관광공사)
성밖숲 수해를 예방하기 위해 조성된 수해방비림으로 수령이 약 300~500년 정도로 추정되는 천연기념품 왕버들나무가 4-5월이면 연두빛으로 물들이고, 8월이면 야생화 맥문동의 보랏빛으로 장관을 이루는 등 유수한 생태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 1999년에 국가지정 천연기념물 제403호로 지정돼 보호 관리되고 있는 성밖숲은 성주군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써 풍수지리설에 의한 비보임수인 동시에 다양한 역사적 스토리를 간직하고 있는 곳으로, 매년 열리는 성주생명문화축제의 축제 장소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주변에는 보기 드문 배치 방법으로 지어진 성주향교와 옛 관아 건물 중 하나인 성산관, 한국 주거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인 만산댁, 배리댁이 자리 하고 있어 전통도시로써의 역사자원이 풍부한 곳이기도 하며 성밖숲 주변에 조성된 성밖숲 산책길은 성주읍의 서쪽으로 흐르는 이천변에 조성된 마을 숲 주변의 산책길로써 지역주민과 성밖숲을 찾는 방문객에게 쉼을 누릴 수 있는 또 다른 공간이다.
●문의 및 안내054-930-8371~3
●홈페이지http://www.성주성밖숲.kr
●주소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주차있음 (소형 50대 / 대형5대 주차 가능)
●지정현황천연기념물 제403호(1999년 04월 06일 지정)
●산림청 지정 올해의 아름다운숲 지정 (2017년)
(사진 *출처:한국관광공사)
천혜의 자연환경을 간직한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에 위치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보전 가치가 높은 식물자원과 전시원, 백두대간의 상징 동물인 백두산호랑이, 세계 최초의 야생 식물종자 영구 저장시설인 시드볼트를 보유하고 있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수목원이다. 백두산부터 지리산까지 1,400km 백두대간은 우리나라 자생식물 33%가 서식하고 있는 중요 생태축이다. 그 중 특산식물 27%, 희귀식물 17%가 있으며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증진시켜 대자연과 인간의 풍요로운 상생을 이끌고자 한다.
●문의 및 안내 054-679-1000
●홈페이지 http://www.bdna.or.kr/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춘양로 1501
●이용시간
하절기(3~10월) 관람시간 09:00~18:00 (17:00 입장마감)
동절기(11~2월) 관람시간 09:00~17:00 (16:00 입장마감)
●휴일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 첫번째 평일 휴관), 1월1일,명절연휴
●주차 일반주차 446대, 대형주차 15대, 장애인주차 10대
●입 장 료
[기본] 어른 5,000원 / 청소년 4,000원 / 어린이 3,000원
[단체 20인이상] 어른 4,000원 / 청소년 3,000원 / 어린이 2,000원
[무료] 만 6세 이하, 만 65세 이상, 장애인·국가유공자 등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참고)
(사진 *출처:한국관광공사)
등기산 스카이워크는 20m의 높이에 135m의 길이로 조성된 곳으로 그중 57m의 강화유리 바닥 구간은 스릴을 즐기기에 매우 좋다. 또한 탁 트인 풍경은 숨 쉴 틈이 필요할 때 방문하기에 적격이다. 시원한 에메랄드빛 바다와 파도소리는 머리와 가슴을 후련하게 해준다. 개방시간은 9시부터 6시까지 관람이 가능하며, 비나 눈 혹은 강풍이 부는 날에는 오픈하지 않는다.
(코로나로인한 스카이워크 내 조형물 부분 폐장/입장가능)
●문의 및 안내 054-740-7362
●홈페이지 http://www.uljin.go.kr/tour/index.uljin
●주소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이용시간
3~5월, 9~10월 : 09:00-17:30
6~8월 : 09:00~18:30
11~2월 : 09:00-17:00
●휴일 매주 월요일 휴무
(사진 *출처:한국관광공사)
도동부두 좌해안을 따라 개설된 산책로가 절경이다. 자연동굴과 골짜기를 연결하는 교량사이로 펼쳐지는 해안비경을 감상할 수 있다. 해안산책로는 행남이라는 마을과 이어진다. 이 마을 어귀에 큰 살구나무 한 그루가 있었다고 해서 행남은 ''살구남''으로도 불려지고 있다. 마을에서 400m 정도의 거리에 있는 행남 등대는 먼 뱃길을 밝혀준다. 해송 사이로 이어지는 등대 오솔길은 가을철에 노란 털머위 꽃이 군락을 이루어 장관을 연출한다. 등대에서는 저동항 절경을 감상할 수 있다.
(해안산책로 코스는 왕복 1시간 30분 정도 소요)
●문의 및 안내 054-790-6394
●홈페이지 http://www.ulleung.go.kr/tour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다른 국내여행 포스팅보기 : stickery.tistory.com
#국내힐링여행
#산책하기좋은곳
#가족과함께
#자연여행
#자연좋은곳
#산책길
#힐링산책
#자연과함께
#바다경치
#휴식여행
인천_한국관광공사 추천_여유롭고 안전한 오늘의 비대면(언택트)여행 관광지 (0) | 2020.09.17 |
---|---|
경남_한국관광공사 추천_여유롭고 안전한 오늘의 비대면(언택트)여행 관광지 (0) | 2020.09.15 |
제주도_한국관광공사 추천_여유롭고 안전한 오늘의 비대면(언택트)여행 관광지 (0) | 2020.09.11 |
강원도_여유롭고 안전한 오늘의 여행법 비대면(언택트) 관광지_한국관광공사 추천 (0) | 2020.09.10 |
경기도_여유롭고 안전한 오늘의 여행법 비대면(언택트) 관광지_한국관광공사 추천 (0) | 2020.09.09 |
댓글 영역